사랑과 배려의 나무, 몬스테라 키우기

조회수 111

지르르 윤기가 도는 하트 모양의 몬스테라 잎. 보고 있으면 왠지 내 마음에도 사랑이 샘솟는 것 같아요.


몬스테라 잎에 구멍이 나는 이유를 아시나요? 울창한 멕시코 정글에서 태어난 몬스테라는 열대우림의 큰 나무들 아래에 드는 빛으로 살아가는데요, 그 소량의 빛을 아래 잎에도 골고루 나누어 함께 잘 살기 위해 잎에 구멍을 내는 거랍니다.


또 시시각각 변하는 비바람과 거친 자연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잎이 찢어진 채로 자라게 되었어요. 그 모양이 마치 구멍 난 치즈 같다고 하여 서양에서는 '스위스 치즈 플랜트'라고도 불리는 몬스테라. 습한 정글에서 심호흡하던 버릇이 있어 유독가스를 빠르게 정화해준답니다.



강인한 생명력으로 실내에서도 쉽게 트로피칼 분위기를 누릴 수 있는, 잎 하나하나에 사랑과 배려를 담은 몬스테라를 건강하고 밝게 키우는 법을 만나봐요!




1. 햇빛을 직접 보면 부끄러워요.


나무 그늘 닮은 조금 어둑한 곳에서도 문제없이 잘 자라는 몬스테라. 오히려 직사광선의 강한 빛을 직접적으로 보면 잎이 검게 타들어 갈 수 있어요. 한여름 뙤약볕은 피하고, 반그늘의 은은한 광을 잔뜩 쐴 수 있으면서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키워주시면 잎이 더 크고 아름답게 자라납니다.

어린 몬스테라의 잎은 잘 갈라지지 않아요 ©트리플래닛

몬스테라 잎이 갈라지지 않는다면? 어린 몬스테라의 잎은 잘 갈라지지 않지만, 1m 이상으로 키웠는데도 잎이 잎이 갈라지지 않고 구멍이 나지 않는다면, 빛이 부족해서일 가능성이 커요. 키우시는 곳보다 좀 더 빛과 바람이 잘 드는 곳으로 옮겨주시면 이내 예쁘게 갈라지는 잎을 볼 수 있을 거예요.


옆으로 크게 퍼지며 흐느러지듯 자라는 것도 덩굴성 식물인 몬스테라의 특징 중 하나인데요, 줄기가 너무 많아질 경우 가지치기로 정리하며 키우시거나, 중간에 목대를 세워 줄기를 둘러가며 키우시면 좀 더 깔끔하게 원하는 수형을 만들 수 있답니다.


/


2. 물을 좋아해요.


성장 속도가 빠른 편인 몬스테라는, 그만큼 물도 많이 마셔요. 줄기를 잘라보면 수분이 가득한 걸 확인 할 수 있죠.

©gardenist.com

물을 직접 뿌린 것도 아닌데 잎에 물이 맺혀있다면, 과습의 신호랍니다. 물이 너무 과해서 몬스테라 스스로 물을 토해내는 거지요. 참 똑똑한 친구 아닌가요? 과습이 심해지면 잎이 물러지고 노랗게 변하며 뿌리가 썩을 수 있으니, 이럴 땐 안쪽의 흙이 마를 때까지 물주기를 중단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으로 옮겨주세요.


/


3. 겨울 추위에 약해요.


몬스테라는 우리나라의 봄처럼 선선하면서도 따뜻한 날씨를 좋아해요. 10도 이하로 떨어지는 가을~겨울의 날씨에는 성장 속도가 급격히 느려지고, 잎이 까맣게 썩어 들어가는 냉해를 입을 수 있답니다. 그러니 겨울에도 늘 10도 이상의 온도를 유지해 주시되, 냉난방기 주변은 피해 주세요. 


/


4. 그 밖의 몬스테라 양육 상식들


  • 줄기 위로 삐죽 솟은 그것? = 공중뿌리

©mulhalls.com

몬스테라를 처음 키우다 보면 줄기 위로 삐죽 솟아나는 뿌리 때문에 당황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, 이는 덩굴성 식물에게서 볼 수 있는 '공중 뿌리'예요. 깔끔한 모양새는 아니라 싫어하시는 분들도 있지만, 양분의 흡수를 도와주는 고마운 친구랍니다. 잘라주어도 생장에 큰 무리는 없지만, 다 자르는 것보다 어느 정도 남겨두고 함께 자랄 수 있도록 해주면 더 건강히 자라고 잎의 갈라짐을 볼 확률도 높아져요! 가지치기 할 때 공중 뿌리가 난 줄기를 잘라 삽목이나 수경재배 해주면 건강한 친구 몬스테라를 만날 수 있어요.


  • 잎이 누렇게 변한다면?

©imgur.com

가장 아래쪽 잎만 누렇게 변하고 위쪽은 초록빛으로 건강하다면, 수명이 다한 잎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니 괜찮아요. 하지만 위아래 가리지 않고 잎의 색이 변한다면, 물 부족 혹은 과다를 생각해볼 수 있어요. 잎끝이 타들어 가듯 바짝 말라 있으면 부족, 잎을 만졌을 때 무른 감이 있다면 과습이랍니다. 이럴 땐 흙의 마름을 확인하고 물주는 주기를 조정해 보세요.


  • 반려동물 멀리서 키우기

몬스테라에는 독성이 있어 반려동물이 실수로 섭취하면 해로울 수 있어요. 아이와 반려동물의 손이 닿지 않도록 멀리서 키워주시고, 혹시 섭취했다면 바로 인근의 병원에 방문하시는 게 안전합니다.